Manufacturing AI
​​

'제조AI의 신뢰성을 높이는 머신비전'

제조산업에서의 AI기술은 통상의 인공지능 기술과는 달리
고신뢰, 고정밀,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제조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입니다.

COGNEX 머신비전 특징

718x512-01.png
In-Sight 비전시스템

내장 알고리즘을 갖추고 있어 별도의 PC 없이도 모든 작업이 온보드에서 처리되므로 통합이 간편하고 안정성 또한 향상된 모델입니다.
718x512-02.png
EasyBuilder 인터페이스

단계별 지침과 권장사항을 제공하여 비전문가가 직관적인 환경에서 쉽고 빠르게 검사환경을 구성하고 정확한 비전 검사와 측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718x512-03.png
정확성과 반복성을 위한 PatMax 알고리즘

부품 및 특징점의 위치 파악을 위한 머신비전 업계의 선두기술로 각도, 크기, 명암 변화와 상관없이 물체를 정확하게 찾아내는 기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 스마트머신비전
  • 엣지러닝
  • 비전프로SW
  • 비전프로 딥러닝


머신비전 입문자 및 초중급자를 위한

스마트 머신비전

머신비전 기술에 필수적인 검사도구가 모두 포함
검사결과를 PLC 등 다양한 주변기기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산업용 프로토콜 포함
머신비전 대시보드 개발(C#)을 위한 SDK와 쉬운 스프레드 시트 기능


룰베이스의 스마트머신비전과 딥러닝 사이의 머신비전

엣지러닝 머신비전

훈련에 필요한 이미지와 프로세싱 시간을 최소화한 ViDi EL 기능
로봇+공정장비 등과 인터페이스에서 적은 노력으로 빠른 효과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용 가능


머신비전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를 위한 업계 표준 소프트웨어

Vision Pro

전세계의 제조 현장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머신비전 카메라와 호환
머신비전 검사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제공
C/C++ 프로그래밍으로 대시보드 개발


가장 까다로운 제조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도록 맞춤화된 AI기반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Vision Pro DL

결함감지 및 조립 검증에서 분류와 문자 판독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고 안정적인 검사 자동화 제공
예제 기반 학습을 통해 복잡한 규칙과 매개변수의 번거로움 없이 고극 애플리케이션을 해결하고 가변성을 처리하여 개발 시간 단축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등 복잡하고 까다로운 검사를 딥러닝 기반 학습으로 해결
스마트 머신비전

스마트머신비전과 UR협동로봇의 물품 분류&정렬 동영상
스마트머신비전과 한화 협동로봇의 물품 분류&정렬 동영상
스마트머신비전과 한화 협동로봇의 양불 판정 동영상
엣지러닝 머신비전

엣지러닝 머신비전과 UR협동로봇 이용 볼트 식별과 너트 위치 확인
엣지러닝 머신비전 이용 간단한 물병 뚜껑 불량 검출
엣지러닝 머신비전 이용 OCR(광학문자인식) 처리


적용 사례
718x512-201.png
가방형 머신비전장비

보관및 이동이 편리한 가방형(450x350x150mm)

머신비전과 PLC, 산업용 아두이노가 하나의 장비로 구성

임베디드 보드가 내장된 스마트 머신비전

718x512-207.png
테이블형 머신비전장비

이동이 가능한 테이블형(480x400x300mm)

검사물품을 슈터로 자동낙화시켜 비정렬 물품 검사 효과

산업용 아두이노 확장보드가 내장되어 외부장치 확장 가능

718x512-202.png
엣지러닝 머신비전 장비

머신비전장비와 주변장비(Dobot 메지션봇)와 함께 활용

검사물품을 슈터로 자동낙화시켜 비정렬 물품 검사 효과

스마트머신비전 및 엣지러닝비전 등 선택 장착 가능

718x512-203.png
물류기반 머신비전장비

각기 다른 높이와 길이의 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물품을 머신비전을 통해 분류 이동하는 물류기반 머신비전장비

C#기반 장비 제어 및 데이터 모니터링 가능한 개발환경 제공

718x512-205.png
머신비전 협동로봇 연동

반도체 트레이를 식별하여 4개의 지정위치로 이동

산업용로봇은 물론 협동로봇과 머신비전 인터페이스

머신비전은 스텐드 또는 로봇에 장착하여 활용

718x512-204.png
머신비전 응용장비

PLC가 내장되어 머신비전의 검사결과를 주변장비와 TCP/IP, Serial, Modbus TCP, SLMP 등 다양한 프로토콜로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형태